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은 어떤 질병인가요?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은 심장이 아닌 원인에 의해 급성으로 시작된,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하여도 호전되지 않는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호흡부전 형태를 말합니다. 1976년에 애시보프(Ashbaugh)라는 의사가 호흡 곤란, 산소 공급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청색증, 그리고 가슴 방사선 사진상 보이는 양폐야 침윤의 세 가지를 보이는 12명의 환자군에 대하여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는데 당시는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명명되었으나, 실제로는 모든 연령에서 일어나므로 현재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현재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진단적 기준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베를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난 한주 이내에 호흡기 증상이 시작되고 악화됨.
  • 방사선 사진에서 양폐에 침윤이 보임.
  • 방사선 사진에서 보이는 양폐에 침윤은 심장 기능의 저하 혹은 체내 용적 증가로 충분히 설명되지 않아야 함.
  • 중등도 혹은 중증의 산소화 장애가 있어야 함 (혈중 산소 분압/흡입 산소 분압 분율의 비율이 일반적으로 300mmHg 이하인 경우)

원인은 무엇일까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은 심각한 질병이나 손상 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 중 1/3이 전반적인 세균성 혈액 감염 때문에 발병합니다. 심한 외상이나 화상을 입었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폐렴, 산부인과적 응급 질환, 구토물의 흡인, 마약성 약제의 과다복용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질환들이 어떻게 폐에서 체액을 유출시키는 지에 대해선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폐렴은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병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요?

조기증상은 과다호흡(hyperventilation)과 호흡성알칼리증입니다. 초기에는 흉부X-ray에서 폐는 정상으로 나타나고 빈호흡만이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유일한 증상입니다. 저산소혈증이 증가하면서 호흡곤란, 빈호흡, 보조호흡근육 사용이 나타납니다. 피부는 창백하고 산소를 투여해도 반응하지 않습니다. 호흡은 빠르고 얕으며 흡기시 늑간과 흉골상이 함몰됩니다. 거품섞인 객담이 보일수도 있고 불안, 혼돈, 지남력 상실. 빈맥, 부정맥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흉부 X-선에서 전체 폐가 하얗게 변해갑니다. 결국 원인 인자에 노출된 후 보통 수시간에서 이틀 정도에 인공호흡기가 없으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을 정도의 심한 호흡곤란을 보입니다.

진단방법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은 초기 며칠 간은 심부전으로 인한 폐부종과 유사한 증상 및 엑스레이(X-ray) 소견을 보입니다. 따라서 임상적인 상황과 검사들을 통해 심부전에 의한 것인지,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주로 심부전에 의한 폐부종과의 감별을 위해 다음의 검사가 시행됩니다.

  • - 심초음파 : 기본적인 임상 진찰과 혈액검사 후 심장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심초음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 폐동맥도자술 : 심도자란 심장 및 심장에 직접 연결된 대혈관에 직접 접근하여 압력이나 산소분압 등을 측정합니다. 이 기법은 위험하고 어렵지만 심초음파 등의 다른 검사로도 진단이 모호할 때는 시행이 필요하며 폐모세혈관 쐐기압이 일정한 기준을 넘으면 심장 기능의 저하에 의한 폐부종을 시사하지만 100%의 정확도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어떻게 치료하나요?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기계환기를 포함한 집중치료를 시행합니다. 기계 환기의 목적은 환자의 폐가 치유되는 데 필요한 시간 동안 환자의 호흡을 지탱해주는 것입니다. 이산화탄소 제거를 하여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체외막 산소화(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밖에 감염에 의해 발생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라면 항생제 치료, 혈압이 떨어진다면 승압제 등 환자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지지적인 치료들이 시행됩니다.

합병증 예방은 어떻게 하나요?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의 합병증은 중환자 질병으로 특징 지어지는 부동, 전신적 염증반응 증후군, 환기기 관련 폐손상과 일차적으로 관계됩니다. 인공호흡기의 높은 압력과 폐의 팽창에 의하여 기흉이 일어날 위험이 높으며 기흉이 생기면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흉관을 삽입해야 합니다. 또한 폐렴은 흔한 합병증으로 폐의 손상을 더욱 심화시킵니다. 그러나 흉부 X선 촬영 영상에 보이는 폐의 모습은 이미 비정상이 된 상황이기 때문에 진단이 힘듭니다. 이 합병증 중에 가장 심한 것은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간, 신장, 뇌, 면역 상태 등 거의 모든 장기가 기능을 잃을 수 있으며 이것과 관계될 때 사망률이 60%이상 지속됩니다. 신장의 손상으로 투석이 필요할 수도 있고, 뇌의 손상으로 의식을 잃을 수도 있으며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세균 감염이 진행되기도 하는데, 이는 면역 상태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염증의 진행에 따라 혈소판이나 혈장의 수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신적인 염증 상태와 치료약제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뇌 기능의 저하인 섬망이 일시적으로 올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억이나 집중력이 저하되기도 하고, 시간이나 장소, 사람을 분간하지 못하기도 하며 이는 시간에 따라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기도 합니다. 이는 급성 호흡부전 증후군에서 호전되면서 수일 후에 회복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폐 보호 환기요법 전략을 사용하고 잦은 체위변경 및 복위 고려, 적절한 객담흡인 등이 필요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