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이나 이식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상당한 경제적인 부담과 함께, 정신적인 긴장감을 보이게 됩니다. 흔히 보이는 심리적인 반응은 불안, 우울감으로서 돈 걱정, 병 상태에 대한 걱정, 가정생활파탄 가능성에 대한 걱정, 치료 중단 및 신장이식을 둘러싼 갈등과 죄책감이 생깁니다. 특히 20세 이하의 청소년의 경우 학교생활의 어려움, 친구관계의 어려움, 병에 대한 적응능력의 어려움을 보일 수 있습니다. 질병을 잘 관리하려면 심리적인 어려움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심리적인 반응

심리적인 어려움은 성격, 치료기간, 환자 주변의 환경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며, 아래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보여질 수 있는 반응입니다. 대부분은 차차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수용을 하게 됩니다.

충격

신장기능수치가 나빠진 상황에서 투석치료 또는 이식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준비가 안되어 충격이 크고 치료방침을 따르라는 현실을 냉정히 받아들이기가 힘이 듭니다.

부정

계속적으로 치료를 받아왔던 환자의 경우 의사가 말하는 만큼의 질병의 심각성을 인정하기가 힘들어 종종 본인은 호전된 상태라고 판단하기도 하고, 다시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의사의 지시를 시험하기 위해 음식조절을 안하고 약을 중단하기도 합니다.

우울

우울은 신장이 못쓰게 됐다는 상실감에서 오는 반응이며, 우울감이 오면 식욕감퇴, 성적능력의 감소 및 관심이 저하되고 불면증이 올 수 있습니다. 심한 우울감은 치료를 거부하게 되고, 우울감을 벗어나기 위해서 약물중독, 자살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분노

환자는 불공평하게 자기가 투석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에 대해서 몹시 화가 납니다. 많은 환자들이 이런 감정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감정조절이 잘 안 되는 환자의 경우 분노조절의 어려움으로 가족들에게 화를 내고, 의료진에게 화를 낼 수 있습니다. 이런 분노는 의료진 또는 가족과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성적인 문제

이식을 받은 미혼 여성이 결혼을 앞두고 있는 상태에서 아이를 낳을 수 있는지 궁금해할 수 있습니다. 미혼 여성 또는 남성은 결혼을 했을 경우 제대로 성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이런 문제로 비슷한 상황에 있는 환자들끼리 대화를 하고 싶어하고, 경험자들을 만나고 싶어하므로 이때 성공적인 출산을 한 환자를 만나는 경험을 갖거나 비슷한 상황에 있는 사람끼리의 정보교환은 도움이 됩니다. 반면, 기혼자는 대개 성적인 능력의 저하와 관심의 감소를 경험하고 있어서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기능장애의 원인은 고혈압치료제와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정확한 원인을 찾기는 어려우며, 대체로 투석환자의 경우 성인남자의 70%가 발기불능을 경험하고 여성의 경우 오르가즘의 감소를 느낀다고 합니다.그러나 성적인 문제가 부부갈등 또는 의사소통의 결여, 성관계의 문제에서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담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응의 어려움

환자들은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치료를 받는 경우 친구와 가족으로부터 소외감을 느끼기도 하고, 환자를 바라보는 사회의 따가운 시선에 대해 위축되기도 합니다. 이런 생활이 계속되면 소극적인 성격이 되고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 될 수 있습니다.

학교생활

청소년인 경우 이식을 못할 경우 혈액투석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주 수업을 빠져야 하기 때문에 공부를 따라가지 못하고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다 보면 학교 가기 싫어하고, 친구 사귀는데도 어려움이 많고 내성적인 성격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사회사업가가 학교를 방문하여 교사에게 질병에 관한 자료를 주고 병원과의 협조를 구할 수 있고, 환자의 사회적응능력의 향상을 위해 개인 자원봉사자(형, 언니)를 연결해줄 수 있습니다.

직업문제

만성신부전 환자는 해왔던 직업을 그대로 갖고 지내야 하는지, 새로운 일을 찾아야 하는지, 아니면 일을 그만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 있습니다. 실제로 혈액투석환자는 병원을 정기적으로 주2, 3회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고 자영업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복막투석의 경우는 그대로 직장생활을 유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직장을 다니더라도 동료나 상사와의 갈등으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직업을 옮길 경우 우리나라의 취업현실이 열악하므로 자기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기가 어려운 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가족은 어떤 어려움이 있나요?

환자 못지 않게 가족 역시 많은 스트레스를 함께 겪습니다. 환자로 인한 불안, 우울, 환자에 대한 적개심이 생길 수 있으며 계속되는 좌절과 실패를 경험하면서 심리적인 어려움이 많습니다. 특히 노인환자를 돌보는 보호자, 가장의 역할을 대신하는 배우자는 돌보는 부담감이 큽니다. 대개 소화불량, 편두통, 고혈압, 우울증에 걸린 사람이 많으며, 환자에게 매달려 자신의 건강을 소홀히 하곤 합니다. 가족은 환자의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건강을 잘 관리하는 것이 환자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합니다.

어떤 경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아래의 정보들은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환자를 우선 도와주는 경우가 많으며, 까다롭게 지원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의 지원내용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도움을 주기가 어렵지만 가능한 한 많은 사회적인 재활정보를 알고 있는 것이 유익할 수 있어 소개 드립니다.

재활정보

건강보험 산정특례제도, 장애 등록, 장애연금 등은 국민건강보험공단(국민건강보험 (nhis.or.kr)) 또는 각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건강보험 산정특례제도
  • 장애 등록 및 혜택
  • 국민연금 내 장애연금
    [출처 - kamsw.or.kr]